티스토리 뷰

혼인 관계 증명서 인터넷발급 이렇게 하세요

 

 

 

혼인관계증명서는 부부의 혼인관계를 증명하기 위해 작성하는 서류인데요. 혼인관계증명서가 자주 쓰이는것 은 아니지만, 혼인신고나 해외에서 집을 구매할때는 꼭 필요한 서류입니다. 혼인관계증명서는 관할 동사무소나 구청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대리인도 신고가 가능한데요. 대리인은 발급대상자의 이름과 주민번호를 알아야 하며, 신분증 등이 필요 합니다. 혼인관계증명서를 작성하실 때에는 사실 만을 정확히 적어주셔야 합니다. 동사무소나 구청을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쉽게 혼인관계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는데요. 오늘 시간에는 전자 가족관계등록시스템을 이용해서 혼인관계증명서를 발급받은 방법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동사무소나 구청을 통해 혼인관계증명서를 발급 하시면 비용이 청구됩니다.(인터넷은 무료로 발급 이용 가능해요)

 

 

 

 지금부터 혼인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앞서 말한것 처럼 혼인관게증명서 인터넷 발급은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네이버,다음,구글등의 검색엔진을 사용해서 홈페이지로 이동해 주셔야 해요.

 

 

가족관계등록시스템 사이트에서는 혼인관계증명서 뿐만 아니라 가족관계등록부, 제적부 인터넷 발급, 가족, 기본 , 혼인, 입양, 친양자입양관계 증명서 발급도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곳이 가족관계증록시스템 홈페이지인데요. 상단에 가족관계등록부발급, 재적부발급, 인터넷 신고서작성등이 보이시나요? 안보이시는분들은 상단에 첫번째 박스를 확인해주세요. 가족관계등록부 발급을 눌러서 다음화면으로 이동해 주셔야 합니다.

 

 

열람/발급에서 가족관계등록부를 확인하시면 신청인 정보 조회 입력란이 보이는데요. 이곳에서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이용약관(동의), 개인정보 처리방침등에 정확히 입력또는 체크하고 조회 버튼을 누르면 공인증서를 이용해 본인 인증하는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위의 이미지가 공인인증서 입력 화면 인데요. 처음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시는분들이

어려워하는 공인인증서 저장 위치 알려드릴게요. 인증서를 하드디스크에 저장을 하셨다면

C 드라이브를 선택 하시고, USB 메모리에 인증서를 저장하신 분이라면 F드라이브를

선택해서 인증서를 불러오기 할 수 있습니다.

공인서 인증이 완료되면 본인 확인을 위한 추가 정보 입력을 하셔야 하는데요. 본인 확인에는 부모님 성명, 어머니 성명, 배우자 성명, 자녀, 성명, 등록기준지 등이 보이는데요. 이중 하나만 선택해서 입력해주시고 조회를 누르면 혼인관계 증명서 발급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드디어 등록사항별 증명서 열람/발급 신청을 할수 있는 입력 화면이 나왔는데요. 여기서는 본인과의 선택,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록기준지등을 모두 정확히 입력해주셔야 해요. 증명서 종류에는 기본증명서, 기본증명서(친권.후견),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입양관계증명서, 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등이 보이는데요. 이중에서 혼인관계증명서 체크하시고 필요한 발급수를 입력해주세요. 하단에 보이는 신청사유에는 본인 확인용, 회사 및 학교 제출용, 개인 신분증명용, 가족관계증명용, 연말정산 제출용, 법원 제출용등이 있는데요. 이 중에서 신청사유가 없으면 기타를 눌러서 발급신청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 혼인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직접 방문해서 혼인관계증명서를 발급받을 수도 있지만 인터넷으로 발급하면 시간과 비용면에서 효율과 이득이라는 두마리의 토끼를 모두 가질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