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 납입기간 조회 알아보기

 

4대 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 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등이 있는데요. 개인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 모두 정규직원을 채용하게 되면 4대보험 의무가 생깁니다. 국민연금은 급여액의 총9%로 본인 부담 금 4.5%, 회사부담금 4.5%인데요. 간혹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이나 납부 금액의 부담으로 국민연금 공단에 월급 책정을 낮게 신고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국민연금은 국가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사업비를 부과 하지 않지만 사기업은 사업비와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순수연금은 10년 비과세),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국민연금이 의무이기도 하지만 본인의 노후를 대비해서 국민연금을 유지하는 것을 지향 하고있는데요. 오늘시간에는 10년 이상 국민연금을 납부 하신분들이 은퇴를 앞두고 자신이 매월 어느정도의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급여 설명

 

 

연금 급여에는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등이 있는데요.

노령연금은 :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급여이며 국민연금의 기초가 되는 급여 입니다.

장애연금은 : 장애로 인한 소독감소에 대비한 급여 입니다.

유족연금은 : 가입자(였던 자) 또는 수급권자의 사망으로 인한 유족의 생계보호를 위한 급여

국민연금을 10년이상 납부, 나이가 60~65세가 되었다면 노령연금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은 출생연도 마다 상이한데요.

1952년생 이전에 태어나신분은 노령연금 수급은 60세에 개시 됩니다.

1969년생 이후에 태어나신분은 노령연금 수급은 65세에 개시 됩니다.

국민연금 수령에는 조기노령연금과 분할연금이 있는데요.

1952년생 이전은 조기노령여금 55세, 분할연금 60세

1953~56년생 조기노령여금 56세, 분할연금 61세

1969년생 이후는 조기노령연금 60세, 분할연금 65세 입니다.

 

 

 

본론으로 넘어가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를 하기위해서는 네이버,다음,구글등의 검색엔진에서

국민연금공단 또는 연금공단을 입력해주세요.

 

 

이곳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인데요. 하단 오른쪽에 기금운용본부, 국민연금연구원,노후준비(내연금), 국민연금통계등이 보이실 겁니다. 이중에서 노후준비(내연금)을 눌러주세요.

 

빠른서비스에서는 내연금 알아보기. 국민연금예상연금조회, 국민연금모의계산, 간단재무설계,종합재무설계등을 이용하실 수 있는데요. 여기서 국민연금 예상연금조회를 이용해 주세요.

 

 

예상연금조회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로 공인인증서로 사용자 통합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은 분들은 가까운 금융기관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이와같은 예상 노령연금액표를 보실 수 있는데요. 노령연금표 구분에서는 현재가치예상연금액과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을 확인할수 있고 최근 5년간 소득상승률에 따른 현재기준, 최저(3.1%), 평균(3.5%), 최고(3.9%)에 대한 예상연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급개시 년월과 예상 총 납부월수, 예상납부보험료총액, 평균소득월액, 가입기간중 소득 평균액등을 세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위표의 납입기간은 총 294개월 인데요. 납입기간이 길수록 예상 연금액이 증가 합니다.

국민연금의 가장 큰 장점은 물가상승률에 따른 연금액 증가인데요. 아직까지 국민연금을 가입안하신분이나 중지하신분들은 안정한 노후생활을 위하여 최저금액이라도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임의가입자 분들은 10만원 미만으로도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