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용한정보공유

4대보험계산기 결과

무비존 2017. 2. 10. 13:58

4대보험계산기 결과

 

 

직장을 다니시는 분이라면 한 달에 한번씩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는데요.

회사에서 어느 도 부담해 주지만 4대 보험료가 결코 적지 않은 금액임은 부정할 수는 없죠. 노후도 준비해야 하고 근무 중에 작업으로 

상해를 입으시다면 치료도 해야 합니다. 국가에서 의무적으로 4대 보험을 가입하게 하지만 사실 직장생활하는 분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되는 4대 보험 입니다. 한해 두해 지나면 물가 상승률에 못 미치는 월급이 오릅니다. 2017년에는 내 4대 보험료가 얼마나 나올까?

 얼마나 금액이 달라졌는지 확인해 볼수 있는 4대 보험 계산기 사용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 보험 계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공단으로 이동해 주셔야 합니다.

포털검색창에서 국민연금공단을 입력해 주세요.

 

 

우측 하단에 박스 표시 한 부분을 보시면 4대 보험 계산기가 보이시나요?

알아보기에서는 기초연금, 내 연금, 4대 보험 계산기 등 유용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꼭 내 연금 알아보기를 조회한답니다.

직장 생활을 안 하는 관계로 임의가입자로 국민연금을 남부 하고 있는데요.

한달 한달 쌓여가는 연금을 보면서 지금 보다 더 나은 미래를 꿈꾸고 있습니다.

 

 

 

4대 계산기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보험료를 계산할수 있는 창이 생깁니다.

예시로 연금보혐료에서 월소득이 100만원이라고 가정하고 연금보험료를 계산해 보았습니다.

세부 내역으로는 근로자 부담금 : 45.000원 사용자 부담금 : 45.000원 산출 되었고요.

총액은 9만원

내 월급에서 연금보험료로 9만원이 지출되는걸 알수 있습니다.

지역가입자와 임의가입자는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예시로 신고소득월액을 100만원으로 하고 근로자 수는 150인 이상으로 입력했습니다.

근로자 부담액은 6.500원, 사용자 부담액 13.000원이 산출 되는게 확인 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민건강 보험료을 4대 계산기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예시로 신고소득월액을 100만원을 입력한 결과값으로 산출되었습니다.

 

건강보험료> 총액 : 61.200원 가입자보험료 : 30.600원 사용자 보험료 : 30.600원

장기요양보험료> 총액 : 4000원 가입자 보험료 : 2.000원 사용자보험료 : 2000원

건강+장기요양보험료:65.200원, 가입자보험료:32.600원 사용자 보험료 : 32.600원

4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하여 연금보험료, 고용보험료, 국민건강보험을 산출해 보았습니다.

계산 결과 국민 건강보험비가 다른 보험료에 비해 계산 값이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오래 살고 싶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4대 보험료 성실히 납부하시고. 지금보다 더 행복한 날을 같이 꿈꾸면 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