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퇴직금 계산기 산출방법 (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사용방법 알아봐요)

 

직장 구하기도 힘들지만 한 회사에서 장기근속하기란 더욱 힘들다고 생각하는데요.

다른 직장에서 스카우트 제의가 들어와서 이직하시거나 개인 사정으로 회사를 퇴사해야 한다면.

미리 퇴직금 계산기로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건강상의 이유라면 더욱 경제적으로 힘들어질 수 밖에 없는데요.

퇴직금은 인생 2막의 시작을 하실 수 있는 발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는 퇴직하시기 전에 미리 퇴직금 계산기로 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월급이나, 연봉이 높다면 퇴직금도 많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계산방법 확인해 보겠습니다.

 

퇴직금 계산기는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라서 아무래도 더 신뢰가 갑니다.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새 창이 뜨면 퇴직금 계산기는 좌측 하단부 처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름을 보면 우산에 동전은  무슨 뜻일가요? 아기자기 하네요.

퇴직금 연금제도

퇴직금 계산기 => 클릭해주세요.

 

 

다음과 같은 3개의 메뉴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웹사이트, 금융사별 수익 바로 가기

 바로 하단에 보이는 퇴직금 계산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와같은 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입사일자와 퇴직 일자를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재직일 수는 알수있습니다.

> 퇴직 일자는 마지막으로 근무한 날이 아니라 다음날을 기재해야 합니다.

입사일자와 퇴직 일자를 적으시고 평균임금 계산기를 눌러주십니다.

재직일 수 중 제외기간이 있는 경우는 재직 일수를 수정하셔야 합니다.

 

 

퇴직 하시기전 3개월치 기본금과 기타수당을 적어주세요.

위와 같이 입력하시면 임금 총액이 6.000.000 나옵니다.

 

연간 상여금 & 연차수당 항목에 입력해주세요.

이 부분는 개개인이 받는 연봉과 연차수당이 상이함으로

본인이 받은 금액을 적어주셔야 합니다. 파란 표시된 퇴직금 계산을

눌러주시면 퇴직금 계산이 끝나게 됩니다.

퇴직금은 1일 임금 X 30 X 일한 날짜(재직 일수) 나누기 365입니다..